김원중 (야구 선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원중은 롯데 자이언츠 소속의 야구 선수이다. 2012년 드래프트 1라운드로 롯데 자이언츠에 입단하여, 2015년 프로 데뷔 후 2019년까지 선발 투수로 활동하다 2020년부터 마무리 투수로 전향했다. 2021년에는 61경기에 등판하여 35세이브를 기록했다. 2023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에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으로 참가했다. 2024년 시즌 종료 후 FA 자격을 얻어 롯데 자이언츠와 4년 재계약을 체결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광주학강초등학교 동문 - 여홍철
여홍철은 대한민국의 전 체조 선수이자 경희대학교 체육대학 교수로,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 도마 은메달리스트이며 '여 1', '여 2'라는 독창적인 도마 기술을 개발했고, 은퇴 후에는 운동 역학 연구와 해설위원으로 활동하며 그의 딸 여서정 또한 체조 선수로 활동 중이다. - 광주학강초등학교 동문 - 최성 (1963년)
대한민국의 정치인 최성은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 후 한국기독교사회문제연구원 상임연구원 등을 거쳐 제17대 국회의원과 고양시장을 두 차례 역임했으며, 남북교류협력, 지역경제 활성화, 사회적 약자 보호 등에 주력했다. - 광주동성중학교 동문 - 이한열
이한열은 1987년 6월 항쟁을 격화시킨 연세대생 민주화 운동가로, 시위 중 최루탄에 맞아 사망하여 민주국민장으로 장례가 치러졌고 연세대학교 명예 학사 학위가 추서되었으며 기념관이 건립되었다. - 광주동성중학교 동문 - 이원석 (법조인)
이원석은 서울대학교 정치학과를 졸업하고 사법시험에 합격하여 검사로 임관, 주요 경제 사건과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수사에 참여했으며, 대검찰청 기획조정부장, 수원고등검찰청 차장검사 등 요직을 거쳐 제45대 검찰총장을 역임하면서 디지털 성범죄 대응 강화, 금융범죄 엄단, 민생 침해 범죄 대응 등을 추진하고 사회적 약자 보호와 검찰 개혁에 힘썼으나 정치적 중립성 논란도 있었다. - 광주동성고등학교 동문 - 박광온
박광온은 MBC 기자 출신 정치인으로, 뉴스데스크 앵커 등을 역임하고 국회의원,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등 주요 당직을 지냈으나 2024년 총선에서 컷오프되었다. - 광주동성고등학교 동문 - 임동규 (야구 선수)
임동규는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로, 1999년 삼성 라이온즈에 지명되어 입단 후 2006년 활약했으나 병역 문제 등으로 부진을 겪다 2010년 방출되었다.
김원중 (야구 선수)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원어명 | Kim Won-Jung |
출생지 | 대한민국 광주광역시 |
생년월일 | 1993년 6월 14일 () |
신장 | 192 |
체중 | 96 |
포지션 | 투수 |
투구 | 우 |
타석 | 좌 |
등번호 | 34 |
선수 경력 | |
프로 입단 연도 | 2012년 |
드래프트 순위 | 2012년 1라운드 (롯데 자이언츠) |
소속 구단 | 롯데 자이언츠 (2012년 ~ 현재) |
첫 출장 | KBO / 2015년 8월 8일 대전 대 한화전 구원 |
연봉 정보 | |
계약금 | 1억 5,000만원 |
연봉 | 5억원(2024년) |
국가대표 경력 | |
대표 국가 | 대한민국 |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 2023년 |
2. 선수 경력
김원중은 광주동성고등학교를 졸업하고 2012년 신인 드래프트에서 1라운드 지명을 받아 롯데 자이언츠에 입단했다. 고등학교 시절 팔꿈치 부상으로 입단 후 재활에 전념했으며, 2013년 시즌 중 병역 의무를 이행하기 위해 잠시 팀을 떠났다가 복무를 마치고 복귀했다.[7]
2015년부터 2024년까지 롯데 자이언츠에서 활동한 기록은 다음과 같다.
연도 | 팀명 | 평균자책점 | 경기 | 완투 | 완봉 | 승 | 패 | 세 | 홀 | 승률 | 타자 | 이닝 | 피안타 | 피홈런 | 볼넷 | 사구 | 탈삼진 | 실점 | 자책점 |
---|---|---|---|---|---|---|---|---|---|---|---|---|---|---|---|---|---|---|---|
2015 | 롯데 | 5.75 | 15 | 0 | 0 | 0 | 0 | 0 | 1 | - | 99 | 20⅓ | 21 | 1 | 15 | 3 | 20 | 15 | 13 |
2016 | 9.39 | 3 | 0 | 0 | 0 | 1 | 0 | 0 | 0.000 | 37 | 7⅔ | 7 | 2 | 8 | 0 | 5 | 8 | 8 | |
2017 | 5.70 | 24 | 0 | 0 | 7 | 8 | 0 | 0 | 0.467 | 507 | 107⅓ | 130 | 13 | 56 | 10 | 87 | 71 | 68 | |
2018 | 6.94 | 30 | 0 | 0 | 8 | 7 | 0 | 0 | 0.533 | 681 | 145⅓ | 173 | 28 | 77 | 11 | 137 | 115 | 112 | |
2019 | 5.63 | 28 | 0 | 0 | 5 | 10 | 0 | 1 | 0.333 | 485 | 102⅓ | 127 | 13 | 47 | 6 | 93 | 75 | 64 | |
2020 | 3.94 | 58 | 0 | 0 | 5 | 4 | 25 | 0 | 0.556 | 249 | 59⅓ | 52 | 8 | 23 | 0 | 57 | 29 | 26 | |
2021 | 3.59 | 61 | 0 | 0 | 4 | 4 | 35 | 0 | 0.500 | 268 | 62⅔ | 50 | 6 | 28 | 3 | 64 | 26 | 25 | |
2022 | 3.98 | 43 | 0 | 0 | 2 | 3 | 17 | 2 | 0.400 | 187 | 43 | 40 | 4 | 16 | 0 | 60 | 21 | 19 | |
2023 | 2.97 | 63 | 0 | 0 | 5 | 6 | 30 | 0 | 0.455 | 265 | 63⅔ | 51 | 2 | 25 | 5 | 82 | 24 | 21 | |
2024 | 3.55 | 54 | 0 | 0 | 3 | 6 | 25 | 0 | 0.333 | 277 | 63⅓ | 59 | 4 | 31 | 1 | 68 | 27 | 25 | |
통산 | 10시즌 | 5.08 | 842 | 0 | 0 | 39 | 49 | 132 | 4 | 0.443 | 3055 | 675 | 710 | 81 | 326 | 39 | 673 | 411 | 381 |
- '''굵은 글씨'''는 해당 시즌 최고 기록
2024년 시즌 종료 후 FA 자격을 얻어 2025년부터 4년간 롯데와 재계약을 맺었다.
2. 1. 아마추어 시절
처음 야구를 시작할 당시에는 유격수로 활동했지만, 중학교 1학년 때 대퇴골두 골단 분리증을 겪은 후 투수로 전향했다.[6]2. 2. 롯데 자이언츠 시절
2012년 드래프트 1라운드에서 롯데 자이언츠에 지명되어 입단했다. 광주동성고등학교 시절 오른쪽 팔꿈치를 다쳐 입단 후 재활에 전념했다. 이듬해 2013년 시즌 중 병역 의무를 위해 잠시 팀을 떠났고, 복무를 마친 후 팀에 복귀했다.[1]2015년 8월 8일 한화 이글스와의 경기 (대전 한화생명 이글스파크)에서 프로 데뷔전을 치렀으며, 같은 해 15경기에 등판했다. 이후 2019년 시즌까지 주로 선발 투수로 기용되었으나, 뚜렷한 성적을 거두지 못하고 2020년 시즌부터 마무리 투수로 전향했다. 이듬해 2021년 시즌에는 개인 최다인 61경기에 등판하여 4승 4패 35세이브, 평균자책점 3.59의 성적을 기록했다.[1]
2022년 시즌에는 스프링캠프 전에 갈비뼈 피로 골절을 겪었고, 개막 직전에도 내전근 부상을 입는 등 부상이 잇따랐다. 5월에 1군에 등록되었으나 평균자책점 6점대로 부진하여, 같은 달 27일에 1군 등록이 말소되었다.[1]
2024년 시즌 종료 후, 생애 첫 FA(프리 에이전트) 자격을 얻어 롯데와 2025년부터 4년간 재계약을 체결했다.[1]